본문 바로가기
신용생활백서

저축은행 가계부채 7개월간 3조 증가

by 바른생활 신용생활
반응형


저축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린 가계 채무가 급증하고 있다.

알다시피 저축은행 금리는 은행보다 훨씬 비싸고 연체율 또한 매우 높다.

그만큼 위험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저축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이유는 은행의 문턱이 높기 때문이다.

같은 금리와 한도로 은행에서 대출이 가능한데도 굳이 이자가 비싼 저축은행에서 빌리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가계 부채의 질적인 하락과 양적인 증가는 금리 상승이나 부동산 시장 위축 등 외부 요인에 따라 엄청난 폐해가 동반 될 수 있다.

저축은행으로부터 빌린 가계 빚이 최근 7개월간 3조가 증가했다고 한다.

다음은 가계부채의 증가에 관한 최근 뉴스이다.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최근 저소득층 가구가 돈을 많이 빌리고 있음을 엿보게 하는 통계가 잇따라 나와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현재 전국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66920억원으로 전월보다 5924억원 늘었다.

월간 증가액이 6(2349억원) 2.5배 수준으로 확대됐고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7 12월 이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종전에는 작년 10 5117억원이 최대 증가 폭이었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올해 1∼7 29984억원 늘면서 작년 말과 비교한 증가율은 21.9%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을 포함한 전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증가율 8.5%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특히 저축은행 가계대출의 서울 쏠림 현상이 심하다.

가계대출 잔액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103235억원으로 전체의 61.8%를 차지했다.


비싼 저축은행 대출이자에 서민은 '한숨만‘(CG)[연합뉴스TV 제공]

 

올해 증가액 중 서울지역 비중은 22311억원으로 전체의 74.4%나 됐다.

저금리 장기화 등으로 시중 유동성이 풍부해진 상황에서 저축은행들이 서울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영업에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로 풀이된다.

문제는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은행을 이용하기 어려운 저소득층이나 저신용층이 생계를 위해 빌리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한은 통계를 보면 지난 7월 저축은행의 평균 대출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11.20%로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금리(2.96%)의 약 4배 수준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최근 저축은행 가계대출을 살펴보면 대부분 생계형 대출이고 개인사업을 위한 대출이 일부 포함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은행보다 훨씬 높은 이자를 감당하면서 돈을 빌려야 할 정도로 생활이 어려운 가계가 많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에는 경기 부진 등으로 실질적인 가계 소득이 정체된 현실이 반영돼 있다.

또 올해 은행권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으로 대출수요가 2금융권으로 이동한 '풍선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달에는 은행 가계대출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기타대출' 25천억원 늘어났다.

이는 올해 1∼8월 월간 평균 증가액( 9500억원) 2.6배 수준이다.

기타대출 잔액의 증가 폭은 2010 5(27천억원) 이후 최대치이고 사상 두번째로 크다.

2010 5월에는 삼성생명 공모주 청약이라는 특별한 상황이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8월 급증은 이례적인 현상으로 평가된다.

한은은 여름 휴가철 자금수요와 더불어 주거비와 생계비를 위한 대출 증가를 원인으로 꼽았다.

이처럼 생계형 대출이 늘어나는 것은 가계부채의 질이 나빠지는 조짐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당국이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심사를 강화하면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신용대출이나 2금융권 대출이 증가하는 부작용이 커진 것이다.

아직 가계부채 증가로 인한 연체율 상승 등 직접적인 위험 신호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6.4%로 작년 말보다 0.4% 포인트 떨어졌고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도 0.31%에 머물렀다.

그러나 앞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 경기 악화, 부동산 가격 하락 등 충격이 발생할 경우 자영업자,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채무 부담이 커질 우려가 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 은행 대출의 문턱이 높아지면서 노년층, 구직자, 실업자 등 취약계층이 2금융권으로 많이 이동한 것 같다" "취약계층의 연체율이 높아지고 신용유의자가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이 걱정되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